간략히 정리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핵심 상황 요약
. 급여 일부를 실지급보다 적게 신고 → 4대보험·소득세 적게 부과
. 정정 요청으로 추가 보험료와 세금이 발생
. 근로자는 퇴사하며 퇴직금 전액 지급을 요구, 추가 금액 납부 거부
✅ 대응 방안 요약
. 퇴직금에서 정산 가능(가장 이상적이지만, 거부 시 어려움)
.3 근로자에게 구상권 행사 가능(근거자료 남기고 지급 후, 청구 가능)
. 민사소송 제기 가능(소액심판 또는 지급명령 등)
. 합의서 작성 권장: 퇴직금 지급 시 “4대보험료 본인 부담분 정산 완료” 문구 삽입
✅ 요약
항목 | 가능 여부 |
퇴직금에서 강제 공제 | 당사자 동의 없이 불가 |
추후 청구 | 가능 (민사적 방법) |
형사처벌 또는 강제 징수 | 불가 – 행정상 강제력 없음 |
향후 유사 사례를 막기 위해서는 급여 신고를 실지급액과 다르게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