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청년월세 지원금 신청 시 중위소득과 가구원 기준이 헷갈리신 질문자님.
주거지 등록 상태나 소득 기준을 보면 정말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 있어요. 저도 비슷한 청년지원금 신청하면서 전입신고 기준 때문에 많이 알아봤던 기억이 납니다.
제 경험상 이렇게 정리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구원 기준은 '주민등록상 세대구성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현재 질문자님이 부모님과 같은 주소지(주민등록등본상)로 되어 있다면 4인 가구로 간주되고,
이 경우 가족 전체의 소득이 기준이 됩니다.
전입신고를 통해 독립 세대를 구성하면 ‘1인가구’로 인정됩니다.
예: 자취방으로 주소를 옮기고, 세대 분리를 하면
→ 1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으로 심사됩니다.
이때부터는 질문자님의 개인 소득 및 재산만 판단 기준이 돼요.
중위소득 산정 시점과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준 연도는 전년도 건강보험료 또는 소득금액증명원 기준입니다.
(2024년 신청이라면 2023년도 소득이 기준)
금융자산은 일정 금액 이상 보유 시 감점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보통 청년월세 지원금의 경우 총 자산 3,800만원 이하 조건이 적용돼요.
현금·주식·예금 등 모두 포함됩니다.
청년월세 신청 시 소득·재산 기준 (예시):
만 19세~34세
본인 소득이 중위소득 60% 이하
본인 재산이 3,800만원 이하
세대 전체 기준도 보지만, 독립세대이면 본인 기준으로 심사됩니다.
정리하자면,
현재 주소지 유지: 4인가구 기준, 가족 전체 소득·재산이 적용
전입신고 + 세대분리 시: 1인가구 기준, 본인 소득·자산만 적용
전년도(2023년) 소득 기준으로 보며, 금융자산도 일부 반영됨
제가 작성한 사이트에서 일부 내용 가져왔습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될 이어지는 내용은 아래에 남겨놓겠습니다.
[관련 정보 보러가기]:
2025년에도 청년을 위한 월세지원 제도가 시행됩니다.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청년월세지원 정책, 신청 조건부터 소득 기준, 주의사항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놓치면 손해!청년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월세지원금대한민국 청년들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주거비'입니다.특히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는 원룸 월세만 해도 월 50~70만 원 이상이 기본이기 때문에, 사회 초년생이나 구직 중인 청년에게는 큰 부담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정부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과 자립을 위해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제도’를 2025년에...
ilsang-alchemy.tistory.com
질문자님의 상황이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2025 청년지원정책]:
2025년에도 청년을 위한 다양한 국가 지원금 제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청년 도약계좌, 월세 지원, 구직지원금 등 숨겨진 혜택만 잘 챙겨도 한 달 생활비가 확 줄어드는데요. 하지만 어디서 어떻게 신청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해, 가장 많이 지급되는 청년 지원금 5가지와 신청 방법을 정리했습니다.2025년 꼭 챙겨야 할 청년 지원금 TOP 5청년도약계좌: 최대 5,000만 원 자산형성 / 매월 40만~70만 원 납입 + 정부 매칭청년월세지원: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 현금 지급청년내일저축계좌: 월 10만 원 저축 시, ...
hotissueradar2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