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정확한 임금체불 기간이 궁금해요. 정확한 임금체불의 정의가 궁금해요.늦게 주는건 알겠는데, 체불이라는게 급여를 아예 못받아야

정확한 임금체불의 정의가 궁금해요.늦게 주는건 알겠는데, 체불이라는게 급여를 아예 못받아야 되는건가요??아니면, 예를 들어급여일이 1일인데, 10일날 넣어준다거나 그 지급일 을 넘어서 입금되는것도 임금체불인지가 궁금합니다.또한, 급여일이 빨간날이면, 먼저 입금이 되야하는건지빨간날 지나서 입금이 되도 되는건지도 궁금해요.급여일을 매번 맞춰서 주는것도 아니고 사정해야 주는건도 임금체불인지요?

임금체불은 단순히 안 주는 것뿐만 아니라 ‘기한을 넘겨서 지급하는 것’도 해당됩니다.

  1. 임금체불의 정의

  2. → 근로계약서나 정해진 급여일에 맞춰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 전부를 말합니다.

  3. 즉, 급여일이 1일인데 10일에 지급되면 이미 임금체불입니다.

  4. (단 하루라도 지급이 늦으면 체불로 간주됨)

  5. 급여일이 공휴일(빨간날)일 경우

  6. → 그 전날까지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7. 근로기준법상 급여일이 공휴일이면 그 다음 영업일에 지급해도 된다는 법적 규정은 없습니다.

  8. 다만 회사 관행이나 약정이 있다면 예외도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미리 지급해야 맞습니다.

  9. 사정을 해야 주거나, 지급일이 매번 바뀌는 경우

  10. → 이것도 임금체불입니다.

  11. 지급일이 일정하지 않고 사정해야 주는 건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12. → 반복되면 상습 체불 사업주로 신고 가능하며, 벌금 또는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결론:

기한을 넘긴 모든 급여 지급은 임금체불이며,

정기성과 확정성이 없는 지급 방식도 법 위반 소지가 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