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퇴직금 일시수령에 대해 궁금합니다. 지난달에 퇴직도했고 퇴직증명서도 받았고 고용보험 상실도 되고 퇴직금도 dc에 들어왔는데요. 

지난달에 퇴직도했고 퇴직증명서도 받았고 고용보험 상실도 되고 퇴직금도 dc에 들어왔는데요.  일시금으로 수령할때 세금이 16.5%라는 분도 있고요. 퇴직소득세라던가  3~5%대만 내면 된다는 분도 있어서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나이는 40살이고요, 직장다닌건 5년10개월 다녔거든요. 이전에 다닐땐 16.5%를 땐거같은데 그동안 뭔가 바뀐건가요? 예전엔 퇴직소득세라는 단어를 들어본적이 없어서요...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이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을지 일시금으로 받을지 고민하시면서 세금 부분에서 혼동이 생기곤 합니다.

핵심 정리

1. 퇴직금 과세 구조

• 퇴직금은 퇴직소득세라는 별도의 세율 체계를 따릅니다.

• 일반 근로소득세처럼 누진세율을 바로 적용하지 않고, 근속연수별로 안분·공제 후 낮은 세율을 적용합니다.

• 그래서 보통 실제 부담률이 3~5% 수준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2. “16.5%“의 정체

• 퇴직금을 연금계좌(DC, IRP)에 넣지 않고 바로 현금 일시수령하면,

일단 원천징수로 **퇴직소득세의 100% + 지방소득세(10%)**가 빠져나갑니다.

• 그런데 이게 “16.5%“로 고정되는 게 아닙니다.

아마 예전에 보신 16.5%는 “연금 외 기타소득을 일시금으로 인출했을 때 적용되는 분리과세율”과 혼동된 걸로 보여요.

3. 실제 퇴직소득세 계산 방식 (간단 예시)

• 근속연수: 5년 10개월 (약 6년으로 계산)

• 퇴직금: 예를 들어 3,000만 원이라 가정

• 계산 절차:

1. 퇴직소득금액 = 퇴직금 – 근속연수별 공제

2. 연평균 과세표준 = 퇴직소득금액 ÷ 근속연수

3. 해당 금액에 근로소득세율 적용

4. 다시 × 근속연수 해서 총세액 산출

• 이렇게 계산하면, 원천징수세액이 대략 퇴직금의 3~5% 정도 됩니다.

4. 정리

• ✅ 퇴직소득세는 보통 3~5% 수준 (개인 상황 따라 달라짐)

• ❌ “일시금 수령 = 무조건 16.5% 세금”은 잘못된 정보

• IRP나 DC에 넣었다가 나중에 연금으로 받으면 세율이 더 낮아집니다.

(연금 수령 시에는 3.3~5.5% 분리과세율 적용)

결론: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퇴직금 규모에 따라 달라지고, 보통 3~5% 선이지 16.5%가 아닙니다.

예전에 경험하신 “16.5%“는 아마 연금 외 기타소득 일시 인출 세율을 착각하신 듯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해서 좋은 정보를 추가로 드립니다.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모든 지원금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는 글이 있어 공유드려요.

생각보다 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 수십에서 수천만원까지 너무 많아서 놀랐습니다.

8월에만 받을수 있는 지원금들이 있으니 꼭 신청해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https://m.site.naver.com/1MH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