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PV가 되고 싶으면 어떻게 하나요? PV 즉 Pharmacovigilance가 되고 싶은데 네이버에 쳐도 안나오더라고여 pv가 되는

PV 즉 Pharmacovigilance가 되고 싶은데 네이버에 쳐도 안나오더라고여 pv가 되는 방법 많이 어렵나요??ㅜㅜ 비슷함 QA QC도 생각해보고있어요.. 도와주세요 ㅠㅜ 그리고 외국계로 가면 돈 많이 번다는데 진출 은 어떻게 하나요??

PV(Pharmacovigilance, 약물감시) 전문가가 되려면 제약 산업 관련 전공자(약학, 의학, 생명과학 등)로 입문하여 안전성 정보 수집, 분석, 보고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PV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관련 가이드라인을 숙지해야 합니다. 의약품 시판 후 이상사례 및 유해사례를 지속적으로 탐지, 평가, 관리하며 궁극적으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1. 관련 전공 및 자격

  • 전공:

  • 약학, 의학, 생명과학, 간호학 등 의료 및 제약 관련 전공자가 PV 분야에 유리합니다.

  • 경력:

  • 의약품 개발부터 시판 후 판매까지 모든 단계를 관리하므로 관련 분야의 경험이 중요합니다.

2. PV 업무의 이해

  • 약물안전 감시(Pharmacovigilance):

  • 의약품의 부작용(이상사례)을 수집, 탐지, 평가, 모니터링 및 예방하는 과학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 주요 업무:

  • 안전성 정보 수집: 소비자, 의료기관, 영업사원 등 다양한 출처에서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를 수집합니다.

  • 이상사례 분석 및 보고: 수집된 이상사례를 분석하고, 중대성 여부에 따라 ▲식약처에 ▲ICSR(이상반응 개별사례보고)과 같은 형식으로 보고합니다.

  • 안전성 평가: 정기적인 유익성/위해성 평가 보고서(PBRER)를 작성하여 규제기관에 제출합니다.

3. 필요한 역량 및 교육

  • 관련 규정 및 가이드라인 숙지:

  • ICH(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 가이드라인 등 PV 관련 규정과 최신 정보를 숙지해야 합니다.

  • PV 교육:

  • 성균관대학교 의약품규제과학센터 등에서 제공하는 PV 관련 입문 교육 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핵심 역량:

  • 의학 용어 및 약 성분명 등 전문 용어를 이해하고, EMR(전자건강기록) 등에서 임상 정보를 해석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4. 채용 정보

  • PV 담당자(PV Associate, PVA): 유사 전공자나 신입이 PV 업무를 시작하는 직책입니다.

  • PV 보조원(PV Assistant): 전문 지식 습득과 함께 PV 업무를 시작할 수 있는 역할입니다.

5. PV 전문가의 중요성

  • 환자 안전 보호:

  • 약물의 잠재적 부작용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의약품 개발 및 판매 전반:

  • 의약품 개발 단계부터 시판 후까지 약물 전 주기에 걸쳐 안전성을 감시하고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