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갤러리
광고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실업급여 자진신고 하였습니다. 도움부탁드립니다. 2월말퇴사. 3월13일 수급자격신청일입니다.그동안 잠깐씩 했던블로그 광고 부업을 하면서 수수료를 받았습니다.통장내역에

2월말퇴사. 3월13일 수급자격신청일입니다.그동안 잠깐씩 했던블로그 광고 부업을 하면서 수수료를 받았습니다.통장내역에 3월13일수수료로 3만원이 들어왔고어제 통장내역 지난걸 확인하다가수급자격신청일에 3만원입 금된 부분이 잘못된 것같아바로 온라인 자진신고 하였습니다.4월에는 2월에 페이백했던게 이틀동안 나눠들어온부분은실업급여신청시 신고를 하여 금액을 제한후 입금을 받았습니다.3월1일~12일까지는 알바를 하거나 페이백한부분은검색해보니 상관없다고 글을봤는데맞을까요?3월13일 받은 3만원은 따로소득세를 제하지않고입금된 부분입니다.중간에 한번 담당자에게 문의했을때1원이라도 입금이된다면 신고를 해야한다들었고3월13일 하루 3만원 이부분을 하지않았습니다.2번 페이백 받은부분은 신고하였고이후 통장에는 입금내역이없습니다.이번달에 포인트 받은부분은 신청일에 신고할예정입니다.이렇게 자진신고들어가면 어떻게 진행절차가 될까요?현재 5차까지받은시점에서 1차부분의 자진신고라서걱정됩니다.혹시 절차나 조사과정 어떻게되는지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읽으면서 불안해 하시는 마음이 그대로 느껴져요. 실업급여를 받으면서 소액이라도 부업이나 광고수익이 통장에 찍히면 혹시 “부정수급”으로 오해받지 않을까 걱정되는 게 당연합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스스로 확인하고 바로 자진신고하셨다는 점에서 큰 불이익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나씩 정리해 드릴게요.

1. 수급자격신청일(3월13일) 3만원 입금 건

  • 말씀하신 대로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일 이후에 발생한 소득은 원칙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 금액이 1원이라도 발생하면 신고 대상이 맞습니다.

  • 다만, 이번 건은 소액(3만원)에 해당하고 이미 온라인 자진신고를 하셨으니, 고의 은폐보다는 단순 누락으로 처리될 가능성이 큽니다.

2. 3월1일~12일까지 발생한 소득은 상관없는지

  • 실업급여는 수급자격 인정 신청일 전까지 발생한 소득은 신고대상이 아닙니다.

  • 따라서 3월1일~12일 사이에 알바나 페이백 받은 부분은 굳이 신고하지 않아도 불이익이 없습니다.

  • 신고 기준은 자격신청일 이후라는 점이 맞습니다.

3. 자진신고 이후 절차

자진신고를 하면 보통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용센터에서 신고내용을 검토

  2. 해당일의 수급액에서 해당 소득(3만원)을 반영해 삭감 조정

  3. 이미 지급된 금액과 비교해 차액이 있으면 환수 (예: 하루치 실업급여에서 일부 차감 후 반환 요구)

  4. 금액이 미미하고 자진신고라면, 별도의 추가 제재(수급중지, 과태료)는 거의 없습니다.

4. 걱정되는 “조사 과정”

  • 부정수급 혐의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 조사가 들어가지만, 지금처럼 본인이 바로 신고했다면 단순 정정으로 처리됩니다.

  • 특히 반복적·고액이 아니라면 담당자가 서류 확인 후 정산 처리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 다만 센터에서 추가 확인을 위해 소득 발생 경위(블로그 광고수익 내역 등)를 요청할 수는 있습니다.

5. 앞으로의 주의점

  • 앞으로도 포인트나 소액 광고수익 등이 있다면, 발생 즉시 신고하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 금액이 작더라도 “신고 → 감액”으로 처리하면, 불필요한 불안이 없어집니다.

  • 수익이 애매할 때는 고용센터 담당자에게 바로 문의하면, 신고 여부를 정확히 알려줍니다.

정리

  1. 3월13일 입금된 3만원은 신고 대상이 맞고, 이미 자진신고하셨으니 불이익보다는 감액 정산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3월1일~12일 소득은 수급자격 신청일 이전이라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3. 자진신고는 불이익을 줄이는 중요한 행동이므로, 조정만 있을 뿐 큰 제재는 없을 겁니다.

  4. 앞으로는 소액이라도 발생 즉시 신고하는 게 최선의 예방책입니다.